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별자리 Part 1. / 국제천문연맹 88개 별자리 안드로메다자리 물병자리 이전 글에 이어 이번 글에서도 별자리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세 시대를 지나며 변화를 거듭한 서양의 별자리는 최종 88개로 정리됩니다. 그 이후 1930년 국제 천문 연맹이 최종적으로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여 88개의 별자리의 명칭과 약자, 그리고 각 별자리 사이의 경계를 명확히 정리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에 사용되고 있는 최종 88개의 별자리 목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사용할 용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적경이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적도 좌표에서 한 점을 나타내기 위해 쓰는 두 가지 좌표 중의 하나입니다. 적위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적도 좌표에서 적경과 함께 다른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쓰는 두 가지 좌표 중의 하나입니다. 즉 .. 2022. 8. 8.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서양의 별자리 이번 글에서는 천문학의 가장 흥미로운 주제인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별자리는 성좌라고도 불리는데, 천구의 밝은 별들을 중심으로, 우리 지구에서 보는 형상에 따라서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연상하도록 이름 지어진 것을 뜻합니다. 별자리는 대개 비슷한 방향에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별자리 내에 있는 별이 항상 차원적으로 가깝게 있지는 않습니다. 현재 별자리는 1930년 IAU 국제 천문 연맹에서 정한 90개가 가까이 되는 88개의 별자리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별자리는 문화권, 시대별로 약간씩 달라진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함께 사용하는 별자리는 아니지만 봄의 삼각형이나 북두칠성 같이 잘 알려진 별자리를 성군이라고 부릅니다. 동아시아와 서양의 .. 2022. 8. 8.
천문학의 세부 분야(우주론)와 중요한 미해결 문제들 앞선 두 포스팅에서 알아본 것은 연구 대상에 따라 천문학의 세부적인 분야를 나누었고, 태양 천문학, 행성 천문학, 항성천문학을 지나 우리은하 천문학과 외부은하 천문학에 대해 심도 있게 다뤄 보았습니다. 천문학이 자연과학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했는데요, 그런데도 지금까지 미지의 영역이 대단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주론 천문학과 아직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질문들을 다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주론이란, 물리 우주론이란 우주가 애초에 어떤 방식으로 생겨났으며, 어떤 방식으로 진화하게 됐는지 같은 근원적인 질문을 다루는 분야입니다. 우주론의 바탕이 되는 연구는 우주가 137억년 전에 시간과 공간의 작은 한 점으로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팽창해 왔다는 빅뱅 이론입니.. 2022. 8. 8.
천문학의 세부 분야 (우리은하 천문학, 외부은하 천문학) 앞선 포스팅은 태양 천문학, 항성천문학, 행성 천문학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다시 정리해보면서도 언제나 새롭고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하는 것이 천문학이라는 분야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에 이어 천문학의 세부 분야 두 가지를 더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는 우리은하 천문학과 외부은하 천문학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은하는 우리가 사는 태양계를 의미하며, 우리은하 천문학이란 태양계에 관련된 은하 군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반대로 외부 은하는 우리은하가 아닌 다른 모든 은하를 연구하는 천문학을 일컫습니다. 우리은하 천문학이란, 우리 태양계는 국부라고 불리는 은하 군에 속해 있는 막대 나선 은하인 우리은하에 속해 있습니다. 우리은하의 중앙 부분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태양계는 별들 사이의 먼지를 포함하는 바깥.. 2022. 8. 8.
천문학의 세부 분야 (태양천문학, 행성천문학, 항성천문학) 연구 대상에 의한 천문학의 세부 분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행성 천문학이란, 내행성계로 일컬어지는 지구형 행성들로는 수성, 금성, 지구와 화성이 있다. 외부를 공전하는 있는 외행성계는 가스 행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성, 천왕성, 목성, 해왕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왕성의 너머로는 카이퍼대가 존재하며, 태양계는 소행성대, 내행성, 외행성의 세 부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가장 바깥쪽에는 최대 길이 1광년에 이르는 거리까지 구름이 펼쳐져 있다. 태양계는 비교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과거에는 관측 도구로 주로 망원경을 이용했으나 최근에는 우주 탐사선이 그 역할을 한다. 행성 천문학은 왜행성, 혜성, 행성, 위성, 소행성, 기타 태양을 공전하는 다른 천체들 및 외계 행성 집단들을 연구 대상으로 다룬다... 2022. 8. 8.
시대별 천문학사 (근대 이후) 앞서 발행한 글에 이어 이번에는 천문학사의 연대기 중 근대시대 이후의 천문학사에 대해 알아보겠다. 천문학사에 대해 다시 한번 짧게 요약하자면, 천문학사란 자연 과학으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또한 인류 문명과 함께 발달해 왔다. 이 천문학은 선사 시대의 종교적, 신화적, 점성술 적인 행사에서 기원한다. 천문학의 역사는 시기와 추이에 따라 내용이 굉장히 풍부해지고 천문학적인 수준이 높아졌을 뿐만이 아니라 연구 방법과 목표 역시 뛰어난 발전을 하였다. 자연 과학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학이 근대시대 이후 어떻게 발전하게 됐으며, 인간 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근대시대 이후. 천체 망원경에 의한 실제 관측, 그리고 천체 역학에 따른 이론 계산은 근대 천문학의 무기가 되었다... 2022. 8. 7.